한글파일 합치기 간단한 방법





문서 작업을 자주 하는 게 아니라면 한글파일 합치기 방법을 알아둘 필요가 없고 그냥 복사 붙여넣기 해도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.

하지만 한글 파일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실수할 수 있습니다.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기기 전에 미리 파일 합치는 방법을 알아두면 좋습니다.

그럼, 이제부터 한글파일 합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아래 내용을 확인해주세요.




한글파일 합치기 방법

1. 한글에서 문서 끼워 넣기 기능을 찾습니다.

한글-문서-끼워-넣기-메뉴-위치

우선 한글 파일을 실행해주세요. 그 후 문서 합치기를 진행하고 싶은 부분은 클릭한 후 문서 끼워 넣기 기능을 사용하면 됩니다.

저는 한글 합치기 1 문서의 아래쪽에 합치기 2 문서의 텍스트를 합치려고 합니다.

그러므로 합치기 1 파일을 실행한 후 문서의 맨 아래쪽을 선택한 후 상단 메뉴에 있는 [입력][문서 끼워 넣기]를 찾아서 선택했습니다.

단축키는 Ctrl+O로 문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다면 미리 기억해두는 것이 편합니다.

2. 합치고 싶은 한글파일을 선택합니다.

한글-합치기-설정-및-합칠-파일-선택-화면

문서 끼워 넣기를 선택하면 이렇게 한글파일 합치기 진행을 할 파일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.

여기서 원하는 한글 파일을 선택한 후 설정을 체크한 후 [넣기]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.

가져올 한글파일의 글자 및 문단, 스타일 유지를 원한다면 각각 [글자 모양 유지], [스타일 유지], [문단 모양 유지]를 체크해주시면 됩니다.

[쪽 모양 유지]를 선택하지 않으면 문서 끼워 넣기 진행 전에 클릭해둔 부분부터 바로 합칠 문서의 텍스트가 표시되며 쪽 모양 유지를 선택하면 합치기 2번 문서의 쪽 모양이 그대로 유지되어 넣어집니다.

설정을 전부 확인했다면 위에서 말한 것처럼 넣기 버튼을 눌러 합치기 작업을 진행해주세요.

3. 한글파일 합치기 작업을 완료 후 확인합니다.

한글파일-합치기-완료-화면

합치기 파일 넣기를 완료하면 이렇게 문서에서 합치기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위의 설정을 어떻게 체크하냐에 따라 바로 표시되는 모양 및 위치가 바뀔 수 있으니, 원하는 방식을 잘 확인해서 작업을 진행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.

 

이번에 포스팅한 방식으로 한글파일을 합치면 번거롭게 복사 붙여넣기 하는 귀찮음 뿐만 아니라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.

또한 스타일, 쪽, 문단 모양 등등의 기존 설정을 그대로 유지할지 아닐지의 설정 또한 자유롭게 가능하니 단축키를 기억해둔다면 편리하게 이용가능할 것 같습니다.

▼ 관련글 ▼

한글 파일을 PDF로 변환하는 등 그 밖의 다른 파일 정리 및 변환에 도움 되는 자료들 또한 포스팅해놨으니 필요하다면 참고해 주세요.